[TIL] 30일차 학습일지 데이터드리븐 UX프로세스 & 2차피드백내용
오늘은 새로운 발제가 시작되는 날이어서 팀원분들도 새로 만나고 UX강의도 듣기 시작한날이다. 이제 겨우 B4조분들과 낯가림이 사라진것 같은데 끝나니 약간 아쉽구먼(허허). UX강의 1주차 다 듣고 실습과제진행하고 2차 피드백 받은 내용들 정리하고 나혼자 티맵 솔루션부분 디벨롭 진행했던거 같다.
문제 정의 : 문제를 어떻게 발견했고, 원인은 무엇이었나요?
가설 수립 : 어떤 가설을 세웠나요?
해결 방법 :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나요?
검증 과정 :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활용했고,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 했나요?
결과 : 어떤 임팩트가 있었나요?
데이터 드리븐 UX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효율적으로 제품을 개선할 수 있다. 약간 어디서 들어본것 같은데 작게 만들어서 시장의 반응을 보고 다시 개선하고 이런식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 많이 진행한다고..어디선가 들어본적이 있는것 같다. 튜터님이 위에 프로세스는 다시 쓰일수 있다고 꼬옥 어떻게 진행되는지 기억해두라고 하셨다.
과제 사례분석을 하다가 검증단계에서 지표가 잘 보이지 않아 튜터님께 여쭤보았다. 기업들의 지표들은 내부 데이터라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경우도 많다고 한다. 다만 거시적인 dau,mau 같은 지표는 data.ai. 분석 사이트를 통해 체크해볼수 있다고 하는데 솔직히 말하면 아직 이해가 안간다. 지표부분은 내일 다시 공부해보고 그래도 모르겠으면...
AB Testing Case Studies from the world’s data driven marketeers | CRO cases
Create your free account Sharing experiments and learning about optimization Explore 100's of experiments for free Filter by industry or type of page Search all test cases Share your experience
www.abtestcases.com
a/b test 사례 같은 경우에는 모아놓은 사이트나 각 회사의 테크 블로그 아티클을 위주로 잘 서치해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하셨다. 글로벌 기업 같은 경우에는 영어로!
검증과정으로 a/b test로만 활용한 예시를 가져왔지만 어떤 지표를 확인해야하는지가 좀더 중요하다고 한다. 해당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참고하면 좋을 지표는 무엇일지,, 더 고민해야겠다.
어떻게 이리 내가 궁금한것들만 딱 설명해주시는지 진짜 튜터님 대단하시다. 튜터님말씀대로 타이포에 대한 공부도 같이 하며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할때는 조금 더 신경쓰면서 해야겠다.
그리고 이미지 슬라이드 프로토타입이 해설강의롤 보면서 해도 이해가 가지 않아 다른 튜터님께도 여쭤봤는데 튜터님도 해결을 못하셨다..(!) 무려 12년차경력이 있는 튜터님이 프로토타입은 자신도 잘 모르는게 있다며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하셨다. 여태까지는 프로토타입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거짓말?인줄 알았는데 오늘 확 와닿았다ㅋㅋㅋ
내일은 2주차 강의 듣고 실습과제하고 티맵 디벨롭을 마저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