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티클 스터디 (3)
UXUI 디자인 스터디

디자인을 하다 보면,나만 아는 디테일에 집착하다가 정작 사용성을 놓치는 경우가 있었다.심미성을 우선하다 보면 기능적인 부분이 부족해지고,기능과 사용성을 고려하면 또 미적인 만족감이 떨어지고…너무 공감가는 내용이여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예쁘기만 한 제품: 과잉 디자인은 사용성을 방해한다.사용자는 미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더 직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고 한다. 그치만 아름다운 디자인은 사소한 문제를 해결하지만, 사용 흐름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플로우를 설계하거나, 과도한 인터랙션과 애니메이션으로 UX를 복잡하게 만든다면 오히려 사용성을 해칠 수 있다고 한다. 카카오 웹툰의 처음 업데이트 당시 UI버전인데, 디자인 자체만 놓고 보면 기존 웹툰 앱들과는 차원이 다른 퀄리티를 볼 수 있다. 하지만..

1. Problem (문제 정의)디자인 시스템은 멋진 스타일 가이드가 아니라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이다. 2. Existing Assets (기존 디자인 자산 조사): 처음부터 모든 것을 새로 만들 필요는 없다. 이미 사용 중인 스타일 가이드, 컴포넌트, 디자인 문서 등을 살펴보자. 기존 자산을 활용하면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다. 3. Maturity Level (현재 성숙도 평가): 우리 서비스는 현재 어느 단계에 있을까? (초기) : 개별적으로 디자인되며, 재사용되는 요소가 없음.(기초 단계) : 색상과 타이포그래피 스타일 등 기초적인 요소만 존재함(중간 단계) : 일부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가 있으며, 코드베이스 외부에서 간단한 문서화가 이루어짐(성숙 단계) : 대부분의 컴포넌트가 문서화..
https://brunch.co.kr/@goodgdg/191 사용성 개선만으로는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 수 없다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UI/UX디자이너와 다른 점 |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UI/UX 디자이너는 무엇이 다를까? 사용성 개선만으로는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 수 없다 스타트업 업계에서 채용 담당자로서 brunch.co.kr 1. '사용자 중심'에서만 그치지않고 '프로덕트 중심'으로 진행해야한다. 2. 디자인을 분석할 땐 '디자인 원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인만의 프로덕트 원칙이 있다. 3. 오직 사용자 중심으로 사용성, 편의성, 직관성, 단순함 등 원칙에만 기반하지 말고 전체 스토리라인 안에서 어떤 하면이 왜 그렇게 디자인했는지 스토리를 넣어서 디자인해야한다. 4. 인터뷰할때 어떤 질문을 하는지 중..